[정정·심층 보도] “월정사 예산지원은 문화재 보수비… 발왕산 케이블카와 성격 달라”
- 해피700뉴스 보도국 이유승
- 7월 30일
- 3분 분량
주차료 감면 놓고 ‘월정사–국립공원공단–평창군-지역민대표’ 4자 협의 필요성 부각
![오대산 월정사 입구 [사진=해피700방송]](https://static.wixstatic.com/media/92da26_ae3e69b8427f4702ad74dc4bc56b086e~mv2.jpg/v1/fill/w_980,h_653,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92da26_ae3e69b8427f4702ad74dc4bc56b086e~mv2.jpg)
해피700방송은 앞선 기사에서 발왕산 케이블카 군민 무료 혜택과 월정사의 군민 주차료 부과 문제를 비교·보도했다. 이에 대해 월정사는 지원 예산의 성격, 요금 결정 구조, 그리고 2025년 2월 평창군의회와의 간담회 합의 사항을 근거로 “두 사안을 동일 선상에서 비교한 것은 부정확하다”고 반박했다. 본 매체는 월정사의 공식 입장을 반영해 다음과 같이 정정·보완 보도를 진행한다.
![오대산 입구 [사진=해피700방송]](https://static.wixstatic.com/media/92da26_e35d0394a03045d8b76ae242c0f7417c~mv2.jpg/v1/fill/w_980,h_578,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92da26_e35d0394a03045d8b76ae242c0f7417c~mv2.jpg)
1. “군·국비는 월정사 경상비가 아닌 ‘국가유산 보수정비’ 비용”
월정사는 다음과 같이 밝혔다.
“평창군에서 지원되는 예산은 월정사 경상비로 지원되는 것이 아니라 국가유산의 보수정비를 위한 비용으로 발왕산 케이블카 지원 사례와는 성격이 다르다.”
![용평리조트 발왕산 케이블카 [사진=해피700방송]](https://static.wixstatic.com/media/92da26_fb0dcd3476f742cdb9441375148ada0e~mv2.jpg/v1/fill/w_980,h_653,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92da26_fb0dcd3476f742cdb9441375148ada0e~mv2.jpg)
![발왕산 정상 테크길 [사진=해피700방송]](https://static.wixstatic.com/media/92da26_257743290eec466db781a09abd0dae87~mv2.jpg/v1/fill/w_980,h_653,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92da26_257743290eec466db781a09abd0dae87~mv2.jpg)
즉, 평창군이 한국산림복지진흥원 녹색자금(약 5억 원)과 군비(약 3억 원) 등 총 8억 4,800만 원을 들여 발왕산 정상 데크길을 설치하고, 이를 토대로 군민·중증장애인 케이블카 무료 탑승을 시행한 사례와, 월정사에 지원되는 문화재 보수 예산은 ‘지원 목적과 사용처가 전혀 다르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월정사 입구의 요금소 [사진=해피700방송]](https://static.wixstatic.com/media/92da26_46b0d784c65f4316bb507cfc9f3b6ecb~mv2.jpg/v1/fill/w_980,h_653,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92da26_46b0d784c65f4316bb507cfc9f3b6ecb~mv2.jpg)
2. “주차료는 월정사 단독 결정 불가… 국립공원오대산사무소와 공동 징수”
월정사는 요금 체계가 사찰 단독으로 좌우될 수 없다는 점도 강조했다.
“월정사 입장료는 무료이나 주차료는 국립공원오대산사무소와 공동 징수하고 있어 단독으로 결정할 수 없는 사안이다.”
이는 주차료 감면·조정 요구가 제기되더라도, 국립공원공단(오대산사무소)과의 협의가 필수라는 구조적 한계를 설명한 대목이다.
3. “2025년 2월, 평창군의회와 간담회… ‘감면 확대엔 상응하는 군비 지원 필요’ 공감”
월정사는 이미 올해 2월 평창군의회와 간담회를 갖고, 군민 주차료 감면 문제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대관령 주민에 대한 주차료 감면 요청이 몇 차례 있어서 올 해 2월에 평창군의회와 월정사가 간담회를 갖고 협의한 바 있다. 본 간담회에서 ‘대관령주민 또는 평창군민에 대한 주차료 감면 문제는 월정사와 국립공원공단과 협의가 필요한 사안이며, 주차료 감면에 따른 군비 지원 등 상응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고 향후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기로 한 바 있다.”
즉, 감면 확대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되, 그에 따른 재정 보완(군비 지원 등)과 제도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점에서 이해 당사자들이 의견을 모았다는 것이다.
4. 쟁점과 해법: “형평성 vs. 문화재 보존 비용, 투명성과 상생 구조가 관건”
① 지원금 성격의 명확화·공개
월정사에 투입되는 예산이 문화재(국가유산) 보수·정비에 한정됨을 군과 사찰이 공동으로 명시·공개해 ‘사찰 경상비 전용’ 오해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② 4자 협의체 정례화
월정사–국립공원공단(오대산사무소)–평창군(관계부처·의회)–지역민 대표(번영회 등)가 참여하는 상설 협의체를 구성,
군민 감면 범위(진부면 ↔ 평창군 전역),
재정 보완 방식(군비·기금 등),
사용처 공개(문화재 보수·편의시설 개선)
를 포함한 ‘상생 협의체’ 합의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③ 투명한 회계 공개와 커뮤니케이션
주차료 수입의 용도·집행 내역을 정기적으로 공개하고, 문화재 보수 성과(연차 보고서, 보수 실적, 안전진단 결과 등)를 시각화하면 군민·관광객의 신뢰를 높일 수 있다.
④ 군민 맞춤형 대안
군민 무료 주차 또는 할인 등 실효적 혜택을 마련하고, 그 비용을 군·공공부문이 일부 보전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5. 발왕산 케이블카 사례와의 “비교 프레임” 재점검
발왕산 케이블카 무료 탑승은 용평리조트의 시설 운영(민간) + 평창군의 공공 인프라(데크길) 구축 → 군민 환원이라는 구조다. 반면 월정사는 국가유산 보존이라는 공적 책무와 국립공원공단과의 공동 요금 체계라는 법·제도적 특수성이 있다.
따라서 두 사안을 ‘군민 대상 혜택의 크기’만으로 단순 비교하기보다는, 재원 구조·결정 구조·법적 지위 등 구조적 차이를 함께 설명해야 한다는 것이 월정사의 핵심 주장이다.
6. 군민의 시각: “지역의 대표 사찰, 군민에게도 열린 구조로”
현재 평창군의 인구는 4만명 이하로 감소하며 귀농·귀촌 유치에 행정과 주민사회 모두가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오대산과 월정사라는 전국적 명소가 군민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구조로 운영된다면, 지역 이미지 제고와 더불어 귀촌 유치에도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타 지역에서도 국립공원 내 사찰 주차료 문제로 등산객과 마찰을 빚는 사례가 있으나, 월정사의 경우는 지역 주민이 자발적으로 요청하고 있으며, 지역 대표 사찰로서 군민을 배려하는 조치가 상생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가 크다.
[정정 및 설명]
본 매체의 선행 보도는 월정사 지원금의 성격(국가유산 보수정비)과 주차료 결정 구조(국립공원오대산사무소와 공동)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했다는 점을 인정하며, 위와 같이 정정·보완한다.
해피700방송은 향후 ‘월정사–국립공원공단–평창군–지역사회’가 참여하는 합리적 해법 마련 과정을 지속적으로 추적·보도할 예정이다.
댓글